나무 아래 걸으면 ‘늦저녁 분홍 노을’ 체험할 수 있는 144살 등나무
분홍색과 보라색이 뒤섞인, 늦저녁 노을을 연상시키는 이 나무는 실제로 일본의 가장 큰 등나무이다.
일본 아시카가 원예공원에 위치한 이 등나무는 세상에서 가장 큰 등나무는 아니지만, 1,990 세제곱미터에...
코로나19에 지친 주민들 위로하듯…일생일대 한 번 본다는 ‘수평호’ 마을서 포착
"이런 힘든 시기에도 공포와 긴장감 대신에 희망과 사랑을 붙잡을 이유가 있음을 알려주는 것 같았다."
미국 워싱턴 주에서 한 여성이 아름다운 수평호를 사진으로 포착해, 코로나19로 지친...
코로나19로 폐쇄됐지만, 어느 때보다 ‘활짝’ 피어난 일본 해변공원의 ‘파란 눈’ 530만 송이
지난 5월 초, 네모필라 꽃이 일본 히타치나카 해변공원에 만개했다.
파란 눈이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진 네모필라 꽃은 4월과 5월 초에 꽃을 피우며, 이 시기는 공원에 가장...
공복에 보면 ‘식욕’마저 불러일으킨다는 꽃 ‘아이스크림 튤립’
봄과 여름이 지나고 있다. 야외행사로 가득해야 할 시기이지만 올해는 조금 다르다. 대부분의 공공 행사가 취소되고 있고, 꽃피우는 튤립을 보기도 어려웠다. 그래도 컴퓨터로 튤립을 즐길...
검은자라, 멸종된 지 ’17년’ 만에 한 사원 관리인의 보살핌으로 ‘극적 부활’
"검은자라가 야생에서 멸종했다"고 발표된 지 17년이 지났다. 하지만 인도의 한 사원에서 일하는 관리인 덕분에, 부활의 기회가 생겼다.
검은자라는 서식지 손실과 식용을 위한 남획으로 인도 아삼...
인류의 생존 도와주는 꿀벌들을 돕고 싶다면 “민들레를 건들지 말라”
꿀벌을 돕고 싶은 사람들에게,
"잡초를 사랑하고, 민들레를 건들지 말라."
브리스톨 대학교의 생태학 교수인 제인 매머트(Jane Memmott)는 인간이 자연과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은 벌 친구들을 그냥 내버려...
한 부부가 ’20년 동안’ 황폐화된 숲에 ‘나무 200만 그루’ 심자···”기적적 변화”
1990년 이후로, 남아프리카의 면적과 맞먹는 규모인 1.29억 헥타르의 숲이 삼림파괴됐다. 대략적으로 계산해 봤을 때, 매년 대한민국 면적의 75%에 달하는 면적의 숲이 사라지는 셈이다.
이로 인해...
멸종위기 혹등고래 개체수 ‘450마리’에서 ‘25000마리’로 반등
혹동고래의 개체수가 멸종 위기를 딛고, 다시 상승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에 많은 이들이 기뻐하고 있다.
1900년대 초, 포경업 여파로 12년간 약 25,000마리의 포유류가 사냥으로 목숨을 빼앗겼다....
26년 동안 매일 ‘황무지 36만 평’에 나무 심은 부부 – 놀라운 결과 가져와..
여기 한 부부는 26년 동안 황무지에 나무를 심어왔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믿을 수 없을 정도였죠.
파멜라(Pamela)와 아닐(Anil Malhotra)은 지금으로부터 26년 전, 전 재산을 털어 인도...
홀로 버려진 ‘날개 없는 벌’에게 친구 되어주자, ‘놀라운 행동’ 보여준 벌
여기 한 여성은 좀처럼 경험하기 힘든 신비로운 우정을 쌓아 화제가 됐다.
작년 초봄 스코틀랜드. 피오나는 자신의 집 앞 정원을 손질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때, 길을 잃고...
인류 멸망 원치 않으면, ‘설탕과 물 한 스푼 마당에 놓으라’ 강력 권고한 다큐거장
벌은 인간의 가장 큰 적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사실 벌들은 우리가 생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여러분이 환경을 존중하기 위해 매일 나무를 심는 사람이 될 필요는...
26년 동안 매일 ‘황무지 36만 평’에 ‘나무’ 심은 부부 – 놀라운 결과 가져와
여기 한 부부는 26년 동안 황무지에 나무를 심어왔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믿을 수 없을 정도였죠.
파멜라(Pamela)와 아닐(Anil Malhotra)은 지금으로부터 26년 전, 전 재산을 털어 인도...